동서양을 막론하고 ‘매를 아끼면 자식을 망친다’는 말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옛말이 된 지 오래지만 직접 매를 드는 게 아니더라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권 국가에서는 엄격한 양육 방식이 지지를 받아왔습니다.
그동안 아동 학대가 아이에게 심리적·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는 연구들은 많았습니다. 아동 학대 속에서 자란 아이들이 불안장애,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을 앓게 될 위험이 높고, 사회적으로 공격적 성향이 높고, 감정 조절이 힘들어 사회생활에 적응하기도 쉽지 않다는 건데요.
이렇게 아동 학대 수준이 아니더라도 어린 아이에게 양육자가 반복적으로 화를 내거나 소리를 지르는 것, 몸을 붙잡고 흔드는 것만으로도 아이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 뿐 아니라 두뇌 구조까지 바꿔 놓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와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연구팀이 공동으로 엄격한 양육 방식이 아이의 불안감과 뇌의 특정 영역의 크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해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2000년대 초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 부속 어린이병원 CHU 성-저스틴(CHU Sainte-Justine)에서 태어난 아이들 1,761명을 대상으로 10년 넘게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아이들이 2세에서 9세까지 해마다 한 차례 부모의 양육 방식과 아이의 불안 수준을 평가하고 이들 가운데 3번 이상 평가와 측정이 가능했던 94명을 선별했습니다. 그리고 이 94명을 엄격한 양육 환경에 노출된 정도 (높고 낮음)와 현재의 불안도 (높고 낮음)에 따라 4그룹으로 나눴습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몬트리올 대학교 사브리나 서프렌 교수팀은 아이들이 12세에서 16세가 되었을 때 이들의 불안 수준과 함께 MRI를 찍어 뇌의 해부학적 변화를 살폈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엄격한 양육 아이, 대뇌 전두엽 크기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