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불평등지수(지니계수)로 표현했을 때 지난해 중3 학생들의 1학기 성적 불평등 정도는 중2 1학기와 대비해 국어 0.02, 수학 0.03, 영어 0.01 늘었다. 코로나19 이전 동일 학년의 국어, 수학, 영어 성적불평등 정도는 직전 학기 대비 모두 0.01이었다. 지난해 성적불평등 정도가 직전 해보다 더 커진 것이다.
현재 중학교 성적은 절대평가로 산출되며 A(90점 이상), B(80점 이상), C(70점 이상), D(60점 이상), E(60점 미만) 5개 등급으로 나뉜다. 연구진은 2018~2020년 3년간 같은 학교 내에서 중위권에 해당하는 학업성취도 B~D 등급 2학년 학생 비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국어는 2018년 58.24%, 2019년 56.49%, 2020년 49.35%로 떨어졌다. 수학은 44.44%, 43.59%, 34.19%로, 영어는 44.13%, 42.56%, 35.14%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수학은 코로나19 이전에는 중위권 감소가 의미 있는 수준이 아니었으나, 코로나19가 발생한 2019~2020년에는 예년보다 중위권이 더 큰 폭으로 줄었다. 실제 수학은 2018~2019년 0.85%포인트 줄었지만 2019~2020년에는 9.4%포인트나 감소했다. 국·영·수 평균은 2018~2019년 1.39%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지만 2019~2020년에는 7.99%포인트나 하락했다.
연구진은 “학교 내 학력격차는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있었으나 대체로 코로나19 이후 그 정도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다만 연구진은 학생의 경제력, 교사 1인당 학생 수 등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면서 “서울시 전체 학생 수준에서 학력격차가 발생했는지 표준화된 시험점수를 활용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남정훈·박지원 기자 ch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