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로 모든 계층서 소득 감소 추세
- 부동산 집값 상승으로 격차 되레 심화
- “집은 못 사는 것”.. 구매 의사도 줄어
- 2030세대 80%가 주식시장으로 몰려
- 코로나전후 서울 학력격차 실태분석
- 국·영·수 전 과목서 상·하위권 늘어나
- 2018년 국어 B∼D등급 작년 9%P ↓
- 국·영·수 평균 하락률 1.4%P→8%P
사진=연합뉴스
20일 신한은행이 발표한 ‘2021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20∼64세 취업자(근로자·자영업자) 1만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은 478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조사가 시작된 이후 월평균 가구 소득은 2016년 461만원, 2017년 462만원, 2018년 476만원, 2019년 486만원으로 해마다 늘었다. 증가 추세로 볼 때 지난해 495만원으로 예상됐지만 실제로는 그나마 17만원 적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소득 감소는 저소득층이 심했다. 소득 5구간(상위 20%)은 0.8% 감소했지만 1구간(하위 20%)은 약 3배인 3.2%에 달했다. 이에 따라 5구간 소득(895만원) 대비 1구간(183만원) 소득 배율이 2019년 4.76배에서 지난해 4.9배로 커졌다. 계층 간 소득 격차가 더 커졌다는 뜻이다.
코로나19로 주식시장이 바닥에서 하늘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자산 격차를 소득으로는 만회할 수 없다는 의식이 팽배해지자 주식 투자 비율은 전 연령대에서 올랐다. 특히 2030세대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조사 대상 중 20대의 85.8%, 30대의 82.7%가 주식 투자에 새로 나서거나 신규 종목에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위권 성적에 해당하는 서울 중학생들이 코로나19 이전보다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를 계기로 학력격차가 심화했다는 의미다.
20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 산하 서울교육정책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전후, 중학교 학업성취 등급 분포를 통해 살펴본 학교 내 학력격차 실태 분석’ 연구보고서를 전날 공개했다.
현재 중학교 성적은 절대평가로 산출되며 A(90점 이상), B(80점 이상), C(70점 이상), D(60점 이상), E(60점 미만) 5개 등급으로 나뉜다. 연구진은 2018~2020년 3년간 같은 학교 내에서 중위권에 해당하는 학업성취도 B~D 등급 2학년 학생 비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국어는 2018년 58.24%, 2019년 56.49%, 2020년 49.35%로 떨어졌다. 수학은 44.44%, 43.59%, 34.19%로, 영어는 44.13%, 42.56%, 35.14%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수학은 코로나19 이전에는 중위권 감소가 의미 있는 수준이 아니었으나, 코로나19가 발생한 2019~2020년에는 예년보다 중위권이 더 큰 폭으로 줄었다. 실제 수학은 2018~2019년 0.85%포인트 줄었지만 2019~2020년에는 9.4%포인트나 감소했다. 국·영·수 평균은 2018~2019년 1.39%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지만 2019~2020년에는 7.99%포인트나 하락했다.
연구진은 “학교 내 학력격차는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있었으나 대체로 코로나19 이후 그 정도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다만 연구진은 학생의 경제력, 교사 1인당 학생 수 등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면서 “서울시 전체 학생 수준에서 학력격차가 발생했는지 표준화된 시험점수를 활용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남정훈·박지원 기자 che@segye.com